Git 3

깃허브 초기 세팅(2)

1. 깃허브 respository 주소 복사  2. 워크스페이스에 폴더를 새로 만들고 이클립스에서 imoprt project              이렇게 import된 프로젝트에서 코드를 수정하고 staging -> commit and push 하면 깃허브에도 반영됨  ※ 팀프로젝트 시 주의사항1) 같은 파일을 여러사람이 동시에 수정할 경우 다른 사람이 먼저 Push 하면 나는 Push 불가능2) Push가 일어난 파일은 반드시 먼저 Pull 한 후에 Push 할 수 있다.3) PC에서 파일을 수정하고 있는데 깃허브에 있는 파일이 수정된 경우 먼저 Commit을 해야 Pull 할 수 있다.

Git 2024.11.25

깃허브 관련 설명 (1)

1. 깃허브는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로 나눠져 있음  * 원격 저장소 : GitHub, 회사 자체 구축 저장소 등  * Distributed Model (cf: Client-Server Model)  * 분산 버전 제어 시스템 2. 로컬 저장소에 저장 - 커밋(1) 소스코드를 변경한 부분이 있고(2) 스테이징 단계를 거치면(3) git 폴더에 저장됨  * git 폴더는 이력관리 등에 사용됨 3. 원격 저장소에 저장 - Push  * 원격 저장소에서 내 로컬로 가져오는 것은 Pull 4. 깃허브는 여러 사람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로컬 저장소 여러개가 있을 수 있다.

Git 2024.11.25

깃허브 초기 세팅 (1)

1. 이클립스 -> File -> Switch Workspace   2. Browse... 버튼 클릭 후 원하는 폴더로 설정  3. 새 프로젝트 생성   4. 프로젝트 생성 후 -> 패키지 생성 -> 메인 클래스 생성 -> 환경설정(Preferences)        * 워크스페이스 폴더 하위에 있는 모든 폴더들 중 저 6가지는 깃허브에 업데이트 하지 않겠다는 뜻  5. 깃허브 계정 환경설정       6. repository 생성   7.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 파일 우클릭 후 설정       8. 이클립스 뷰 세팅    * ignored resources 메뉴에 추가한 패턴들이 Unsateged Changes란에 보인다면 우클릭해서 ignore 해주자   * .project 와 .classpath 파일..

Git 2024.11.25